*elice 강의안
- 배반은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a와 b는 상호배반이라고 주로 이야기함.
- 재귀함수: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
- 공리: 누구나 다 참으로 받아들이는 것
- 숫자 간 가림막이 있다고 생각했을 때, 뽑힌 순서는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림막의 개수에 따라서만 달라짐.
- 위치는 상관이 없음. 어떻게든 3개만 뽑으면 되는 거라서
- 색칠된 박스가 가림막이라고 생각하면 6개의 칸 중에서 3개의 가림막이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중복조합과 같음.
- 결국 n+r-1Cr 이 서로 다른 n개의 대상 중 중복허을 허용해 r개를 순서 고려 없이 뽑는 경우를 의미함
- 이산확률 변수인 경우 명확한 값이 있으니깐 확률 질량 함수가 됨.
- 이항분포 특히 기억할 것.
- 확률밀도함수에서는 구간에 대한 값을 가질 수 있는데, 특정 값에 대한 확률은 기본적으로 0이 됨.
- 0 이상이라고 하지만, 그냥 0이라고 하는 것이 정확함
- so, 전체 구간 적분하면 함수값은 1임
- 표준정규분포(snd): m=0, sigma = 1
- 나머지는 그냥 정규분포임.
- 정규분포를 특히 봐줄 것
- 이산변수의 이항분포에서 연속변수의 정규분포로 넘어가는 과정을 좀.. 보래
- 확률질량함수는 각 사건의 실제값에 대한 함수이기에 f(x) 로 표기하고
- 누적분포함수는 가능한 x 값 전부다 더하는 거라서 F(x) 대문자로 표기함.
-> 결국 합산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됨.
- 연속확률분포의 값을 쌓아서 누적하면 위의 연속형 누적분포함수가 됨.
- 이산도 결국 0에서 시작해서 1로 수렴함.
'Data Science > Statis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lice 통계] 추론 및 가설검정 (이산확률 분포) (1) | 2025.06.12 |
---|---|
[elice 통계] 상자 그림 box plot, 두 변수 범주형 요약: 분할표(crosstab), 두 변수 수치형 요약: 산점도, 공분산, 상관계수 (0) | 2025.05.24 |
[elice 통계] 논리적 자료의 요약(평균, 중간값, 최빈값, 분산, 사분위수, cv, 도수분포표) (0) | 2025.05.23 |
[elice 통계] 자료의 형태, 범주형/수치형 자료 (0) | 2025.05.21 |
[기초통계] 누적 값 계산하기, .cumsum(), .cumprod() (3) | 2024.06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