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*elice 강의안




















- pie차트랑 반대


- 줄기-잎 그림은 관측값의 개수가 많은 경우, 지나치게 흩어진 경우 효과적으로 나타내기가 어려움.

- 금리에서 많이 쓴다고 함.. => 중복된 값 파악에 좋음


- 계급의 폭은.. 개인차가 있음. 근데 거의 루트n+3으로 함
- 사람들이 178, 179가 180으로 대답하는 경향이 있으면 180 구간의 값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럴 때는 175-184 구간으로 나누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음.







- 줄기 기준으로 나눠서 끊어줌. 이건 개인이 선택할 수 있음.

- 그림을 그려서 돌려놓으면 히스토그램과 유사한데, 히스토그램과 달리 개별 정보를 다 가지고 있음.


728x90
반응형
'Data Science > Statis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lice 통계] 상자 그림 box plot, 두 변수 범주형 요약: 분할표(crosstab), 두 변수 수치형 요약: 산점도, 공분산, 상관계수 (0) | 2025.05.24 |
---|---|
[elice 통계] 논리적 자료의 요약(평균, 중간값, 최빈값, 분산, 사분위수, cv, 도수분포표) (1) | 2025.05.23 |
[기초통계] 누적 값 계산하기, .cumsum(), .cumprod() (3) | 2024.06.12 |
[기초통계] 분산과 표준편차 (3) | 2024.06.11 |
[기초 통계] 모집단과 표본, 기술통계와 추론 통계, 변수 종류, 데이터 분포 모양 (0) | 2024.06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