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IL

[TIL] 7/22 상당히 바쁨

Tashapark 2025. 7. 22. 23:52
728x90

오늘 TIL 3줄 요약

  • 이거를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굳이.
  • 딥러닝 강의 시작 (무슨 말인지 모르겠음), 미니 팀프로젝트 전처리 EDA 취합 후 모델학습 시작 (모르겠다고, 아무것도 안 힐거면 왜 있는거지?)
  • LG Aimers 강의 중 공급망관리(SCM) 개념 배움 

TIL (Today I Learned) 날짜

2025. 07. 22

 

 

배운 것 & 소감

  • 딥러닝........ 솔직히 코랩으로 빠르게 넘어가고, 각각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형식이 아니라 코드로 돌리는 결과값만 보여주는 형태라 직관적 이해가 어려움.  -> 우리가 모르는 것은 행렬곱과 multiply가 같냐인데 -> 다르다. 스스로 공부할 것. 
    • 가르칠게 많은 건 알겠는데 귀에서 그냥 흘러가는 느낌임. 그래서 대략적으로 개요로 학습 과정을 이해하는 쪽으로 수업에 집중 중
    • 사실 수학적 개념이라 강의 방식을 이해는 하고 포괄적으로 설명해주시는 것도 나름 좋은데, 특히 해석을 계속 시도하며 팁을 방출하는 게 좋아서 pros  and cons 가 너무 명확함.
  • 미니프로젝트는 몇몇이 할 생각이 있는 것인지 다소 의아함. 모르겠다고 안 해오거나, 그러는 사람들 그대로 내버려두는 게 뭐하는 건지 잘 모르겠음. 그리고 해오라는 지시가 명확했는데 다른 걸 해오고 아.. 모르겠음. 그러나, 다른 팀에서 팀장이기에 이건 그냥 냅두면 좋다는 것을 배우는 중 
    • 그래도 어제 타이타닉 EDA 전반적으로 해보면서 오랜만에 피처 하나씩 보면서 고민해서 좋았음. 
    • 결과도 대개 GPT를 돌려서 비슷했으나,
      • embarked 드롭없이 모드 넣고 그 과정을 확인하고, 연령 규준을 10살, 15살로 나눠서 생존률과 관계를 비교하고, 널값도 그냥 median아니고 pclass와 sex고려해서 넣고 이런 점들은 재밌었음. 
      • 모델학습은 사실, accuracy를 높이고자 계속 여러 모델들을 사용해보고 파라미터 튜닝을 하는 과정이기에 의미가 있나 싶음. 
        • 비용측면에 있겠지만, 솔직히 통계를 위한 통계 같은 인상임. 
  • 공급망 관리(SCM) 드디어 이해함. 이게.. 계속 기업 구인에도 SCM이 있는데 뭐지? 뭔 소리지 했는데. 이제 이해함. 
    • 기업이 이윤을 낼 수 있는 부분이 공급망이기 때문에 이 과정을 최적화하는 것에 비용을 많이 쏟고 있고 DS 역할의 중요성을 이해함. 
      • 시계열 분석이나, 회귀분석, ML, 그리고 하이브리드 분석, ARIMA등을 설명하셨는데 이전 행렬 분해 강의 때처럼.. 20분 강의를 3일에 걸쳐서 듣기에는 시간이 없음. 
      • 개략적으로 가지고 간다고 생각하면서 듣는 중
      • 아직 노션에 정리는 못 했는데 추후에 간단히 할 예정 

 

 

추가적으로 해야 할 것들 

  • 딥러닝 복습 
    • 인공지능 사관학교 강의도 ..............있지만, LG 거 순서를 좀 바꿔서 들을까 고민중. 
  • SCM 실습 추가로 듣고 정리도 필요 
  • 아직 미니 프젝 튜닝중임. accuracy만 오른다고 좋은 게 아닌데, roc가 꽤 좋은 게 있어서.. 멈출까 고민 됨. 
  • 갑자기 프리랜서 일이 폭발해서 다소 정신이 없음. 
728x90
반응형